1. HOME
  2.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가을장마에 따른 일조량 감소 및 기온 급감으로 대부분 강세 혹은 강보합세. 산지 이동시기로 일시적 출하량 감소 및 단가 강세 예상

    ① 양채류(양상추): 전월 지속된 강우 영향으로 단수 감소 및 겨울작기물량 출하지연에 따라 전년 대비 및 전 차수 대비 강세 전망
    ② 엽채류: 강우에 따른 일조량 부족 및 기온 급감 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저조하여 전년 대비 강세 전환 및 전 차수 대비 보합세 전망
    ③ 조미채소류(양파/대파): 양파(산지 재고량 증가 및 저장성이 떨어지는 중생종 출하 확대로 전년比 약세를 보임, 향후 산지 재고량 및 aT 추가 비축 물량 확대로 강세 전환 예상), 대파(명절 이후 산지 출하대기 물량 증가 및 강원도, 경기권 일부 품위 저하 품목 출하가 늘어나며 전년比 약세를 보임, 11월 말 기온저하 및 산지이동 시작으로 가격 강세 전환 예상됨)
    ④ 과채류: 산지 전환시기 가을장마에 따른 일조량 부족으로, 품위 및 생육저하 관측됨. 남부산지 출하 지연으로 강세 예측. 약세이던 전년대비는 강보합 전환 전망
  • 과일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가을 장마로 출하 일부 지연되고 있으나, 고온 장기화된 전년 대비 작황 호조로 전년 대비 약보합 전망

    ① 사과: 사과(부사) 출하시기 지연으로 인해 전년 대비 강세 나타나고 있으나, 11월 중순 이후 출하 늘어나며 전년 대비 강보합, 평년 수준 전망
    ② 밀감: 산지 가격 높게 형성되었으나 수요 주춤하며 시세 조정되는 중으로, 11월 전년대비 강보합, 전차수 대비 약보합 전망
    ③ 토마토: 10월말~11월초 전북 고랭지 산지 위주 출하되며 출하량 감소 시기, 11월 중순이후 남부지방으로 산지 옮겨가며 출하량 회복세 예정으로 중순 이후 약세 전망
  • 김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가을장마로 수율감소 예상되나, 기후조건 회복 및 전년도 배추폭등으로 인하여 전년대비 약세 예상

    ① 국내산 김치류: 가을장마로 초반 수욜 감소 예상되나, 점차 회복되어 전년대비 약세 전망
    ② 중국산 김치류: 현지 원재료 품위 양호하여 전차수 수준 유지 전망
  • 곡류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양곡 19년 햅쌀 생산량 감소(약 10만톤)로 인해 상승세 전환

    ① 쌀: 11월 부 본격 햅쌀 전환 완료, 일부 구곡(23~24년산) 재고 보유하여 할인행사    진행 중(더좋은쌀), 수확 기간 잦은 강우로 햅쌀 수확 지연되어 수발아 현상 일부 있으나대체적으로 미질 전년 비 우수. 일부 조생 품종 햅쌀 수분함량이 평년대비 높아 햅쌀의 짙은 향이 두드러짐, 정부의 농민 친화 정책과 농협 산지 별 수매가 경쟁 기조로 전년 比     최소 7%~ 15% 내외 인상 전망
    ② 잡곡류: 24년산 이월재고 부족에 따른 절대적인 공급량 부족. 쌀벼 수매가 인상에
    따른 현미 가격 또한 강세 전환 20% 내외 인상, 흑미, 찹쌀의 경우 25년산 햅쌀 전환 되면서 일부 가격 조정 약세 전환 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