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ME
  2.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장마/폭염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품목이 강세에 접어드는 시점이며, 전년 比 약보합세 전망

    ① 엽채류: 장마와 고온 영향으로 천 차수 比 초강세 형성 전망되나 전년 대비 보합세 유지, 장마에 따른 하우스 수해 관련 관망 필요
    ② 양파: 만생종(후반 생육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생산량 감소하여 강세 형성), 중생종(물량이 아직 많아 시세 반영 시차 있으나, 7월 말 반등 예상)
    ③ 과채류: 장마 영향으로 일시적 강세를 보였던 단가는 소폭 안정화 되었으나, 폭염 영향 강보합세 예측 → 7월 말 기점 강세전환 예측되어 냉동 대체공급 준비 중
  • 과일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국산 여름 제철과일 출하시기로 사용 권장, 수입과일 산지 변경 시기로 강세 전망

    ① 수박: 전년 대비 늦은 초복으로 인한 물량 감소 및 예년 대비 지속 무더위로 인한 수요 지속 증가로 공급 감소, 수요 증가로 인한 강세 전망
    ② 자두/복숭아/국산 포도류: 여름철 제철과일인 자두, 복숭아, 포도류(캠벨, 거봉, 샤인머스캣) 등 출하시작 시기, 예년 대비 출하가 10일가량 늦어 일시적 강세 → 7월 말 안정세 전망
    ③ 파인애플: 필리핀 산지 태풍 및 우기로 인한 작황 악화로 수입량 감소 및 할당관세 종료 로 인한 관세 원복으로 인해 강세
    ④ 사과: 현재 '24년 저장 사과 사용 중으로, 7월 중순 이후 햇사과(초록사과) 출하 전망 현재까지 작황 특이사항 없으나, 무더위 및 하절기 기후로 인한 모니터링 필요
  • 김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주 원료 비축시기로 보합세 전망되나, 무더위 지속으로 인한 7월말 이후 강보합 전환 전망

    국내산 김치류: 국내산 무/배추 하절기 무더위로 인한 강보합 전망
    중국산 김치류: 무/배추 원물 안정화 및 환율 안정화에 따른 안정세, 하절기 무더위로 인한 7월 말 이후 작황 모니터링 필요
  • 곡류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양곡 24년 햅쌀 재고량 급감, 수급불안과 고시세 형성 중 강세 지속 中

    ① 미곡(쌀): '24년 정부 사전격리에 따른 원료곡 부족& 재고소진 가속화, 민간 RPC 벼 계약물량 소진의 사유로 고시세 형성 및 긴급 쇼트 가능성 有 → 당사는 농협 산지별 추가 확보 가능물량과 신규 RPC 입점 통한 공급량 확보 完
    ② 잡곡류(찹쌀, 현미, 흑미류): 24년산 평년대비 파종 면적 감축과 수확량 저조, 수확시기 고온에 따른 병충해로 품위 악화로 절대적인 공급 물량 부족. 햅곡 이전까지 고시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