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ME
  2.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하절기 고온 지속에 따른 생육부진/장애 발생 관측, 폭염 위주 영향 발생 및 대응 중이며 향후 태풍/집중호우 등 영향 가능성 관망

    ① 무: 강원권 가뭄 및 이른 열대야 영향으로 속썩음, 흑테 등 생육장애 발생 中, 정상품위 가격이 높게 형성되며, 중국산 무 대체 필요
    ② 과채류: 장마 후 폭염 지속에 따른 생육 부진 및 열과 등으로 인해 전차수 대비 강세, 전년과 유사한 기상으로 전년 比 유사한 경락가 그래프를 보이는 중
    ③ 엽채류: 산지 고온 지속으로 전 차수 대비 강세, 전년 대비 보합세 유지 전망, 하우스 수해 영향은 미미하나 대풍, 국지성 호우 등 지속 관망
  • 과일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평년 대비 조기 고온으로 인한 여파 8월부터 나타나며 강세 전망, 위축되었던 소비심리가 소비쿠폰으로 수요 증가하며 지속 강세 전망

    ① 토마토: 고온으로 인한 개화/착과율 감소 및 냉방 불가 농가 조기 종료로 인한 출하량 감소, 평년 9월 나타난 강세가 8월부터 나타났으며 10월까지 강세 전망
    ② 사과: 8월 초록사과(햇과) 출하로 인한 하락세가 미비한 상황, 8월말~9월초 홍로 공급 예정으로 관망 필요하나 산불 여파 및 농민 기대심리로 강보합 전망
    ③ 국산 제철과일(수박, 복숭아, 포도): 무더위 여파로 품위 저하 및 공급 감소, 소비 쿠폰으로 수요 증가하는 상황으로 지속 강세 전망, 공급량 늘어나고 저장성 강한 샤인머스켓 등 사용권장
  • 김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지속적인 무더위 및 저장배추로 원재료 변경에 따른 강세 전망

    국내산 김치류: 폭우, 무더위로 인한 산지배추 원물 수급 불안, 저장배추로 원재료변경/저장배추 품질저하에 따른 강세형성
    중국산 김치류: 작황 양호 및 원물 수급 안정세에 따른 보합세 유지(지속 작황 모니터링 필요)
  • 곡류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양곡 24년 햅쌀 재고량 급감, 수급불안에 따른 지속 고시세 형성 中

    ① 쌀: '24년산 벼에 대한 정부의 사전격리로 농협 & 민간 RPC 원료곡 부족, 6월 부 재고 소진 가속화 진행되어 고시세 형성 중, 정부 격리분 방출 진행 미정으로 햅곡(10월중하순)까지 지속 강세 전망
    ② 24년산 평년 대비 파종 면적 감축과 수확량 저조, 수확기 고온에 따른 병충해로 피해로 인한 품위 악화로 절대적인 공급 물량 부족. 햅곡 이전까지 고시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