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폭염 장기화 영향으로 품위 저하 및 출하량 등락 지속 발생 중이며, SG 별 기상,면적 등 영향에 따른 차이 있으나 전반적 강보합세 예측
① 대파: 산지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가격 약세 전환되었으나, 전년대비 강세 유지 중
② 엽채류: 열대야로 인한 산지 출하량은 감소하였으나, 전년 대비 수해영향 미미하며 전반적인 소비위축에 따른 수요량 감소로 전년 대비 약세 전망
③ 양채류(양상추): (국내산)생육기 강원지역 가뭄 및 고온 현상으로 인해 단수 감소하여, 전년 대비 강세, 전 차수 대비 강세 전망 / (중국산)하북지역 우박과 폭우 피해로 로스 증가하여 오퍼가 상승, 전년 대비 강세 지속
④ 과채류: 하절기 폭염 지속 및 마른장마에 따른 산지 별 출하량 등락 지속 중, 품목 별 일시적 단가 급등 및 상승세 관측되나 전년 대비로는 대체로 약보합 수준 -
과일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고온 여파로 인한 과일과채류 품위 저하 및 출하지연, 과실류 생육부진 나타나며 수입과일 공급량 감소 시기로 전반적인 강보합
① 토마토: 강원 산지 초기정식 물량 종료 시점 도래로 출하량 감소 및 고온으로 인한 일별 출하량 등락이 큼, 전년 대비 이른 강세 나타난 후 유지 전망
② 사과/배: 9월 햇과 출하 초기이나, 고온으로 인한 색택/당도 저하 및 과비대가 부진하여 과수별 가격 편차가 있는 상황
③ 파인애플: 우기에 개화/착과되는 출하 시즌으로 전반적인 수입량, 특히 대과 위주 수급 불안 나타나며 강세
④ 오렌지: 호주산 출하 시기이나 작황 악화로 인한 수입량 많지 않은 상황으로 소과 위주 감소한 상황으로 강보합 전망 -
김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년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하반기 고온현상 등으로 원물가격 지속 상승에 따른 강세전망
국내산 김치류: 고냉지 출하물량 초기 생육 양호하나, 생육기 고온으로 인한 작황 부진예상, 저장배추 장기간 저장으로 인한 품위 저하에 따른 수율 감소
중국산 김치류: 고온현상으로 품위 편차 있으나, 전년대비 약세 유지 中 -
곡류
전년대비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국내산 김치류: 고냉지 출하물량 초기 생육 양호하나, 생육기 고온으로 인한 작황 부진예상, 저장배추 장기간 저장으로 인한 품위 저하에 따른 수율 감소 중국산 김치류: 고온현상으로 품위 편차 있으나, 전년대비 약세 유지 中
① 쌀: '24년산 벼에 대한 정부의 사전격리로 농협 & 민간 RPC 원료곡 부족, 6월 부 재고 소진 가속화 진행되어 고시세 형성 중, 정부 격리분 방출물량 3만톤은 시장 필요물량의 1/5 수준으로 햅곡(10월중하순)까지 지속 강세 전망
② 잡곡류: 24년산 평년 대비 파종 면적 감축과 수확량 저조, 수확기 고온에 따른 병충해피해로 인한 품위 악화로 절대적인 공급 물량 부족. 햇물량 전까지 고시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