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일조 감소 및 기온 하락으로 반입량 감소, 단가 강세 전환 하였으며 기상/명절 영향에 따른 전차수 比 강세 유지 전망
① 무: 1월 중순 이후 제주 무 본격 출하로 소폭 안정화되나, 절대적 공급량 감소에 따른 고시세 유지 예상
② 엽채류: 늦더위로 인한 겨울작기 지연 → 전년 대비 약세이나, 기온 하락으로 전차수 대비 강세 전환. 부추의 경우, 저온 및 산지 이동으로 동절기 강세전망
③ 과채류: 연말,연초 및 명절 영향에 따른 수요 比 공급량 부족으로 강보합세 지속 예측
④ 양채류: 양상추결구 미흡에 따른 단가강세 지속 예측 → 수입산 이원화 공급 예정. 브로콜리의 경우 제주 원물 출하로 보합세 유지 예측 -
과일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연초 및 설 수요 증가 강세 전환 및 수입과 환율 강세로 강세 전망
① 토마토류: 방울토마토 기온 하락 여파 및 연말 수요 증가로 인한 강세 전환 중, 완숙토마토 역시 1월 중순부 현 차수 대비 인상 전망
② 사과/배: 명절 출하 기대 심리로 인해 현재 저품위과 비중 늘어났으며, 특히 배 고품위과 감소와 명절세트용 수요 증가로 지속 전년, 전차수 比 강세 전망
③ 오렌지: 미국산 수입 지연 지속 후 전환 예정이나, 계절관세 영향 및 환율 초강세 영향으로 전차수대비 강세, 1월 중 환율 영향에 따른 가격 변동 가능성 有 -
김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년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국내산 무 비품 비중 증가에 따라 무김치류 강세 전망
무김치: 국내산 무 생육기 고온 및 잦은 비로 생리장해(기형 등) 발생, 원물 품위저하에 따라 무김치류 1월 중순 이후 강세 전망 -
곡류
전년대비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수매가 인상 예정 및 양곡 관리법 영향으로 강보합 전망
전년 수준 수매가 인상 예정으로 가격 인상 중, 양곡관리법 영향으로 일정가격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아 강보합 유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