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ME
  2.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일조량 감소 및 기온 하락으로 엽채류 가격은 강세 전환하였으나, 평년대비 수요 감소로 전년대비 약보합세 유지전망

    ① 무/배추: 무(강세 지속 중, 3월 중순 저장작업으로 등락 지속되어 강보합세 예상), 배추(노지 작업 마무리 및 저장물량 출하 중, 3월부터 가격 인상 지속 예상)
    ② 양배추: 정식기 뿌리장애 영향으로 결구 형성 미흡하여 중량미달, 고시세 중
    ③ 엽채류: 기온 하락(평년대비 -5~-7도↓)으로 산지 출하량 저조 및 소비 회복 추세에 따라 수요량 증가하며 전년 대비 강보합세 전환, 전 차수 대비 보합세 전망)
    ④ 과채류: 소비위축 영향으로 전년/전차수 比 약보합세 유지 중이었으나, 한파 영향 및 3월 봄/개학시즌 사용량 증가 예측에 따라 강보합세 전환
  • 과일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국산과 저장기간 증가로 로스 증가하며 시세 상승으로 강세, 수입과 환율 강세 영향있으나, 할당관세 영향으로 약보합 전망

    ① 사과/배: 생육기 고온으로 인한 저장성 약화 및 로스율 증가로 인해 전차수대비 강보합
    ② 딸기: 생육기 고온으로 전년 比 강세에서 점차 보합세로 전환 중이며, 개학시기 수요 증가하는 중이나 3월 중순 이후 출하량 증가 전망
    ③ 오렌지: 환율 강세 및 수입량 저조로 전년 比 강세이나, 3월 부 계절관세 종료로 인한 시세 하락
    ④ 바나나: 수요 증가시기로 인한 시세 상승시기, 당사 2월 중순 부 베트남산 공급 통한 인상 억제 중
  • 김치
    전반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국내산 무/배추 원물 작황 약화로 인한 전년 대비 강세 지속

    ① 무김치류(국내산): 제주 무 작황 악화로 인한 시황 악화 지속되며 전차수 대비 강보합
    ② 배추김치류(국내산): 배추 작황 부진 및 수율 저하로 인한 시세 상승, 전차수 대비 강보합
    ③ 배추김치류(중국산): 환율 강세로 인한 인상 요인으로 전차수 대비 보합세
  • 곡류
    전년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전차수대비
    1. 약보합
    2. 보합
    3. 강보합

    정부 쌀 가격 부양 정책으로 민간 저가형 벼 수급 제한으로 인상 중 농협 쌀 가격 통제 및 생산수율 감소로 생산 원가 상승 압박 지속

    ① 쌀(백미): 민간 RPC 벼 수급 제한에 따른 품질저하/가격 인상 진행(6월까지 지속예상), 농협 정부 쌀 가격 부양책 영향 및 생산 수율 감소로 강세, 햅곡 수확 전 벼 부족 예상에 따른 유통량 감소되어 변동성 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