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서포트
-
식재시황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년 比 기온 안정됨에 따라 대체로 약보합세 유지 중회복 및 산지 전환시기와 맞물려 전반적 보합예상
① 양파: 저장 장기화에 따른 로스증가로 저장물량 가격 상승, 조생 양파 재배면적 감소/생산량 감소 예상에 따른 고단가 예상 中
② 엽채류: 기온 상승에 따라 산지출하량 증가, 수요 안정세 접어들며 전차수 대비 약세 전환되나, 4월 기온 및 일조량 지속 관망 필요
③ 과채류: 추위가 지속되었던 전년 대비 시황은 안정세이나, 수요 증가로 인한 보합세 유지 예상됨. 4월 말 ~ 5월 중순 산지 변경시기 일시적 강보합세 예측. 일조량 및 기온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단가의 등락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과일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국내산 과일과채류 출하량 증가 시기로 시세 약보합 전환 중이며, 수입과 출하량 양호하여 사용 권장
① 토마토: 기온 상승에 따른 출하량 증가 시기, 방울토마토 소과 출하량 저조하여 방울토마토 중~대과 및 완숙 토마토 위주 사용 권장
② 사과/배: 생육기 고온 영향으로 평년 대비 퍼석거림 심화한 경향이 있음, 저장물량 4월부 로스 증가하는 시기로 가격 지속 강세 전망
③ 오렌지: 수입 원활한 시기로 전차수 대비 약보합으로, 제철식재로 사용 권장 -
김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년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국산 무/배추 원물 작황 악화로 전년 대비 강세 지속, 중국산 대체 사용 권장
① 무김치류(국내산): 제주 무 작황 악화로 인한 시황 악화로 인해 5월까지 강세전망
② 배추김치류(국내산): 정식기 이상 고온 및 폭염, 생육기 저온으로 생육 지연되며 배추 강세
③ 국내 작황 악화에 따른 중국산 깍두기/배추김치류 인하 협의하였으며, 대체 사용 적극 권장 -
곡류
전년대비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정부 쌀 가격 부양 정책 지속에 따른 가격 강세 지속 中
① 미곡(쌀): 원료 벼 유통물량 제한 및 수확기 부족예상으로 고시세 형성, 민간RPC 수급불안 발생하여 정부에 지속적으로 수급 안정화 요청중이나 현 시점 기준 정책 변동 없음
② 잡곡: 찰벼(찹쌀, 찰현미, 찰흑미 등) 공급물량 부족으로 인해 가격 큰폭으로 상승, 수입물량 도입 가능성 있으나, 정책에 따른 방향으로 현재 논의중으로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