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서포트
식재시황

-
채소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기상 호조 및 출하량 증가에 따른 약보합세 유지 중이나, 중순 이후 산지 전환시점 등락 예상되어 지속 관망 필요
① 대파: 산지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가격 약세 전환되었으나, 전년대비 강세 유지중
② 과채류: 남부권역 산지 마무리 시기 물량 출하량이 유지되면서, 중부산지 물량과 맞물리는 시점의 단가 약세 관측. 5월 중순 이후 산지 이동시점 품목 별 단가 등락이 예상되나 대체로 보합세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③ 엽채류: 기상 호조와 소비 위축으로 약세 전망되나, 급격한 기온상승과 산지 이동(남부권→경기수도권)에 따른 출하 공백기간 발생하여 시세 지속 관망 필요 -
과일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저장 장기화에 따른 사과/배 품위 저하, 시세 강세 전환 예정 및 기온 상승에 따른 과일과채류 출하량 증가로 약보합 전망
① 사과/배: 저장기간 장기화에 따른 로스 및 품위 저하, 출하량 감소로 인한 지속 강세
② 토마토: 기온 상승에 따른 출하량 증가하나, 5월 야외활동 증가로 인한 수요 증가로 보합세 전망
③ 수박/참외: 기온 상승에 따른 하우스 수박 및 참외 산지 출하량 증가로 약보합 전환 예정 -
김치
전반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년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국산 무/배추 원물 작황 악화로 전년 대비 강세 지속, 중국산 대체 사용 권장
① 무김치류(국내산): 제주 무 작황 악화로 인한 시황 악화로 인해 5월까지 강세전망
② 배추김치류(국내산): 정식기 이상 고온 및 폭염, 생육기 저온으로 생육 지연되며 배추 강세
③ 국내 작황 악화에 따른 중국산 깍두기/배추김치류 인하 협의하였으며, 대체 사용 적극 권장 -
곡류
전년대비
-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전차수대비- 약
- 약보합
- 보합
- 강보합
- 강
정부 쌀 가격 부양 정책 지속에 따른 가격 강세 지속 中
① 미곡(쌀): ‘24년 원료 벼 정부 사전 격리에 따른 유통물량 제한 및 시장 재고 부족전망 따른 지속 고시세 형성 중, 민간RPC 수급불안 및 원료곡 고시세로 포대가격 강보합 진행 中, 정부에 지속적으로 수급 안정화 요청중이나 현 시점 기조 변동없음
② 잡곡: 찰벼(찹쌀, 찰현미, 찰흑미 등) 생산 면적 축소, 배충해 피해로 수율 급감, 공급 물량 부족으로 인해 가격 큰 폭으로 상승 中 (찰흑미, 흑미류 18% 이상 인상)